BOJ 백준 10989 수 정렬하기 3 풀어보기 [Python]
·
알고리즘/백준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0989 10989번: 수 정렬하기 3 첫째 줄에 수의 개수 N(1 ≤ N ≤ 10,000,000)이 주어진다.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수가 주어진다. 이 수는 10,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. www.acmicpc.net 브론즈 1 시간제한을 엄수하는 문제이다. 그러기 위해서는 sys.stdin.readline()을 사용하여 반복적인 입력을 사용할 때 input() 대신에 입력시간을 줄이고 sorted이나 sort를 사용하면 내장함수는 메모리사용량이나 시간적으로 매우 손해이기 때문에 단순하게 O(n) 정도로 끝낼 수 있는 코드이다. import sys N = int(sys.stdin.readline()) arr = [0] * 1000..
BOJ 백준 2798 블랙잭 풀어보기 [Python]
·
알고리즘/백준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798 2798번: 블랙잭 첫째 줄에 카드의 개수 N(3 ≤ N ≤ 100)과 M(10 ≤ M ≤ 300,000)이 주어진다. 둘째 줄에는 카드에 쓰여 있는 수가 주어지며, 이 값은 100,000을 넘지 않는 양의 정수이다. 합이 M을 넘지 않는 카드 3장 www.acmicpc.net 브론즈2 브루트포스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처음부터 M보다 작을 경우까지만 쭉 돌아주었다. 아래는 나의 풀이이다. N, M = map(int, input().split()) # 입력받기 num_list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#리스트로 입력받고 쪼개기 answer = 0 for i in num_list: for j in num_li..
BOJ 백준 2587 대표값2 풀어보기 [python]
·
알고리즘/백준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587 2587번: 대표값2 어떤 수들이 있을 때, 그 수들을 대표하는 값으로 가장 흔하게 쓰이는 것은 평균이다. 평균은 주어진 모든 수의 합을 수의 개수로 나눈 것이다. 예를 들어 10, 40, 30, 60, 30의 평균은 (10 + 40 + 30 + 60 + www.acmicpc.net 브론즈2 내가 작성한 코드 num_list = [] for i in range(5): num_list.append(int(input())) total = sum(num_list) print(total // 5) num_list = sorted(num_list) print(num_list[2]) 이미 한번 풀어본 전적이있다.
컴공편입생 공부일기
'Python' 태그의 글 목록 (7 Page)